본문 바로가기
정부혜택모음

아동수당 지급대상 확대, 개월별 수령금액 정리

by 친절한정보씨2 2025. 9. 4.
반응형


아동수당 지급대상 확대 소식을 들으셨나요?

 

저도 개인적으로 육아를 하는 가정에 얼마나 큰 도움이 될지 기대가 되는데요, 정부가 아이 한 명당 무려 3000만원 넘는 지원금을 준다는 소식이 나와서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어요.

 

부모급여와 함께 받을 수 있는 금액을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지금부터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아이 1명당 중앙정부 지원금 3000만원

정부가 현재 7세까지 주던 아동수당을 내년부터 8세까지 확대하면서, 중앙정부가 지급하는 현금성 지원금이 아이 1명당 3000만원을 넘게 됐답니다.

 

수도권 기준으로 첫째 아이 1명당 총 308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이는 지방자치단체 축하금이나 육아휴직 급여는 제외한 금액이라 실제로는 더 많이 받을 수 있답니다.

 

개월별로 받게 될 금액 상세 정리



구체적으로 어떻게 받게 되는지 쉽게 설명드릴게요.

 

먼저 첫 만남 이용권으로 첫째 출산 시 바우처 200만원을 받습니다.

 

부모급여는 0-11개월 아이에게 월 100만원,

 

12-23개월 아이에게 월 50만원으로 2년간 총 1800만원을 받아요.

 

아동수당은 현재 0-7세까지 월 10만원씩 주는데, 내년부터는 0-8세로 확대되어 9년간 총 1080만원을 받게 됩니다.

 

아동수당 확대 정책과 전망



아동수당은 2026년부터 매년 1세씩 확대되어 2030년에는 13세 미만까지 받게 된답니다. 비수도권이나 인구 감소 지역에서는 월 1-2만원을 추가로 더 받을 수 있어요.

 

만약 2030년까지 12세로 확대되면 아동 1인당 수령액이 총 1560만원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이런 정책이 육아 부담을 크게 덜어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

 

부모급여 정책 상세 내용



부모급여는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한 모든 아동에게 지원되는 보편수당인데요, 소득과 상관없이 모든 가정이 받을 수 있어서 정말 좋은 것 같아요.

 

만 0세에게는 월 100만원, 만 1세에게는 월 50만원을 현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어린이집을 이용하면 바우처 형태로 지원받게 됩니다.

 

추가 지원 제도들



이 외에도 가정양육수당으로 24-85개월 사이 집에서 돌볼 경우 월 10만원을 받을 수 있어요.

 

지자체별로도 출산 장려금을 따로 주는데, 서울시는 출산 시 바우처 100만원을, 충북은 출산·양육수당 1000만원을 5-6년에 걸쳐 준답니다.

 

중앙정부 지원금에 지자체 지원까지 합치면 아이 1명당 4000만원 넘게 받는 가정도 있는 것 같아요.

 

 



아동수당·부모급여 핵심 요약



구분 지원 내용 총액 (1인 기준) 비고
첫 만남 이용권 출산 시 바우처 지급 200만원 첫째 출산 시 수령
부모급여 0세: 월 100만원 (12개월) / 1세: 월 50만원 (12개월) 총 1,800만원 소득 무관, 현금 또는 바우처
아동수당 0~8세: 월 10만원 (9년) 총 1,080만원 대상 연령 향후 확대(예: 2030년 12세까지 전망)
가정양육수당 24~85개월 가정양육 시 월 10만원 최대 약 620만원 (기간별 상이) 어린이집 미이용 시 지급
지자체 지원 지역별 출산·양육 장려금 (예: 서울 100만원, 충북 일부 1,000만원 등) 지역별 상이 지자체별로 정책 다름
총 지원액 (중앙정부) 첫 만남+부모급여+아동수당+기타(중앙) 약 3,080만원 (수도권 기준) 지자체 제외 금액
총 지원액 (지자체 포함) 중앙+지자체 지원 합산 4,000만원 이상 가능(지역별 차) 지자체 보조금에 따라 상이

 

마무리하며



 

아동수당 확대 및 부모급여로 아이 1명당 중앙정부 약 3,000만원 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자체 지원을 합하면 최대 4,000만원 이상 수령 가능한 지역도 있습니다.

 

  • 첫 만남 이용권: 출산 시 바우처 200만원
  • 부모급여: 0세 월100만원·1세 월50만원, 총 1,800만원
  • 아동수당: 0–8세 월10만원(9년) → 총 1,080만원
  • 지자체 지원은 지역별 상이, 합산 시 총액 증가

아동수당 지급대상 확대와 함께 정부의 아동 지원 정책이 대폭 늘어나면서 육아 가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만약 육아를 하고 계신다면 이런 다양한 지원금을 꼭 챙겨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