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공부

세진중공업 주가전망, 목표주가, 조선 관련주

by 친절한정보씨2 2025. 11. 14.
반응형

세진중공업(075580)이 2025년 11월 13일 +1.29% 상승하며 19,560원을 기록했어요. 조선기자재 전문기업인 세진중공업은 시가총액 약 1조 1,120억 원으로, LPG 탱크에서 글로벌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강자랍니다.

 



 

2025년 상반기 매출액은 196억 원으로 전년 대비 17.8%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26억 원으로 무려 +1,683% 폭증했어요. 특히 올해 4월 HD현대미포가 LCO2(액화이산화탄소) 탱크 주문을 했고, 6월에는 한화오션이 선실과 엔진케이싱을 수주했습니다. 현재 PER 34.7배, 목표가는 19,500~21,000원(일부 25,000~27,000원 제시)이 나오는 상황이에요. 오늘은 세진중공업의 턴어라운드와 미래 성장성을 함께 분석해보겠습니다!

 

1. 세진중공업 최근 이슈 - LCO2 탱크가 새로운 성장엔진

탄소중립 열풍 속 LCO2 운반선 수요 폭증

전 세계가 탄소중립에 나서면서 LCO2(액화이산화탄소) 운반선이 뜨거운 이슈예요. LCO2 운반선이 뭘까요? 쉽게 말하면 산업에서 포집한 이산화탄소를 저장소까지 해상 운송하는 특수 선박이거든요.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 Storage) 기술의 핵심 인프라인 거죠.

 



 

세진중공업은 여기서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해요. LCO2 탱크 제조 능력이 국내는 물론 글로벌에서 거의 유일하다는 게 핵심이랍니다. 특히 'Bi-Lobe Type' 탱크라는 비대칭 구조를 만들 수 있는 업체가 세진중공업뿐이거든요. 이 탱크는 극저온(-50°C)과 고압(4~5배 대기압) 조건에서도 안전하게 CO₂를 담을 수 있어요.

2024년 4월 HD현대미포 LCO2 탱크 수주의 의미

2024년 4월 세진중공업은 HD현대미포로부터 22,000CBM급 LCO2 탱크를 수주했어요. CBM은 입방미터 단위인데, 이 규모가 얼마나 큰지 알아요? 현재 운항 중인 LCO2 운반선 중 최대 규모라는 뜻이에요. 앞으로 4만CBM급, 7만CBM급 대형화도 예상되는데, 세진중공업이 선도할 것으로 보여요.

흥미로운 건 이 수주가 한 건에 그치지 않는다</strong는 거예요. Capital Maritime & Trading는 22,000CBM급 LCO2 운반선 4척을 발주했어요. 미쓰비시 중공업도 실증용 LCO2 운반선을 세진중공업과 함께 추진 중이고, Northern Lights 프로젝트(노르웨이)용으로도 4척을 수주했답니다. 글로벌 30여 척의 추가 LCO2 운반선 발주 논의가 진행 중이에요.

LPG 탱크는 여전히 '돈나무'

놓치면 안 될 것이 있어요. 세진중공업은 LPG 탱크 글로벌 1위</strong이거든요. 2025년 상반기 매출을 보면 조선부문에서 선실 126억 원, 선체 68억 원이 나왔는데, 여기 대부분이 LPG 탱크예요. 현대중공업, 현대미포, 한진중공업, 현대삼호 등 국내 조선소들이 모두 세진중공업 제품을 쓰거든요. 특히 친환경 이중연료추진선(LNG 추진) 수요가 늘어나면서 LPG 탱크도 함께 증가하는 추세예요.

 

2. 세진중공업 기술적 관점 - 신고가 경신 후 조정받을 가능성

52주 신고가를 갈아치우는 중

세진중공업의 52주 최고가는 26,100원이에요. 현재 19,560원은 이 가격에서 아직 25% 떨어진 상태랍니다. 다만 9월 11일 28,000원까지 올랐던 것을 감안하면, 최근 조정받는 중인 상황이에요. 이는 단기 과열에서 벗어나 다시 심호흡 하는 시간이라고 봐도 됩니다.

거래량과 외국인 수급을 봐야 해요

최근 수급을 보면 외국인이 지난주 112,614주를 순매수했어요. 기관은 24,717주를 순매도했지만, 외국인의 강한 매수력이 주가를 지탱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LCO2 탱크 시장의 성장성을 인정한다는 신호랍니다.

 



 

기술적 저항선은 20,000원과 28,000원

20,000원을 뚫고 올라가면 다음 저항선은 28,000원이에요. 이곳은 9월의 고점이거든요. 만약 이를 돌파하면 26,100원 신고가까지는 한 발짝이 됩니다. 손절선은 17,500원으로 잡는 게 현명해 보여요.

 

3. 세진중공업 펀더멘털 - 실적 회복이 명확해요

상반기 영업이익이 +1,683% 폭증한 이유

2025년 상반기 영업이익이 26억 원으로, 전년 동기 1.5억 원 대비 1,683% 증가했어요. 이건 단순한 성장이 아니라 '턴어라운드'라고 봐야 해요. 왜 이렇게 극적으로 나았을까요?

구분 2025년 상반기 2024년 상반기 증감률
매출액 196억 원 166억 원 +17.8%
영업이익 26억 원 1.5억 원 +1,683%
당기순이익 18억 원 -9.5억 원 적자 전환
영업이익률 13.5% 0.9% 12.6%p 개선


영업이익률 회복이 가장 중요해요

매출이 17.8% 증가했는데 영업이익은 1,683% 늘어났다는 건 수익성이 극적으로 개선되었다는 뜻이에요. 이는 HD현대미포와의 LCO2 탱크 계약이 본격화되고, 기존 LPG 탱크 사업도 정상화되었기 때문이에요. 시장에서는 올해 하반기 영업이익률이 15%를 넘고, 2027년에는 20%를 돌파할 거라고 기대하고 있어요.

수주잔고가 183억 원 - 향후 성장이 예정된 것

반기말 기준 수주잔고는 무려 183억 원이에요. 이는 현재 반기 매출 196억 원에 근접한 규모예요. 즉, 앞으로 최소 1년은 매출이 보장된 상황이라는 뜻이랍니다. LCO2 탱크가 추가로 수주되면 이 숫자는 더 커질 거고요.

 

4. 세진중공업 전문가 목표주가 

증권사 목표주가 발표일 투자의견
IBK투자증권 21,000원 2025.08.27 매수
FnGuide 컨센서스 19,500원 2025.11 -


5. 최종 정리

 

✅ 세진중공업의 강점
→ LCO2 탱크 제조 기술 글로벌 거의 독점 (Bi-Lobe Type 유일)
→ 상반기 영업이익 +1,683% 폭증 (턴어라운드 신호)
→ 수주잔고 183억 원으로 1년 이상 매출 보장
→ LPG 탱크 글로벌 1위 지위 유지
→ 탄소중립 정책으로 LCO2 시장 폭증 예상

 

⚠️ 세진중공업의 약점
→ PER 34.7배로 현재 고평가 상태
→ LCO2 탱크 기술이 새로워 시장 불확실성 있음
→ 조선산업 경기 변수에 민감
→ 9월 28,000원 고점에서 30% 이상 하락 (조정 가능성)

세진중공업은 정말 '타이밍이 좋은 회사'라고 봐요. 글로벌 탄소중립 정책이 강해지는 시점에 LCO2 탱크라는 신사업으로 성장 동력을 확보했거든요. 상반기 영업이익 +1,683%는 실적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보여주는 증거예요. 하지만 현재 PER 34.7배는 이미 많은 기대가 반영된 상태예요. 따라서 조금 더 낮은 가격에서 진입하거나, 기존 보유분 일부를 수익 실현하는 전략이 현명해 보입니다. 2026년 영업이익이 어디까지 갈 수 있을지가 주식의 최종 성공 여부를 결정할 거니까요!

 

 

2025.11.13 - [경제공부] - 에이프로젠 주가전망,바이오시밀러 관련주

 

에이프로젠 주가전망,바이오시밀러 관련주

에이프로젠(007460)이 2025년 11월 13일 VI(변동성완화장치) 발동 후 +8.13% 상승하며 748원을 기록했어요. 바이오의약품 전문기업인 에이프로젠은 시가총액 약 213억 원 규모로, 항체 기술 기반의 바이

benefit.luckyreport7.com

2025.11.13 - [경제공부] - 에코플라스틱 주가전망, 자동차 부품 관련주

 

에코플라스틱 주가전망, 자동차 부품 관련주

에코플라스틱(038070)이 2025년 11월 13일 3.5% 상승하며 3,350원을 기록했어요. 자동차 부품 중 범퍼, 콘솔, 트림 등 플라스틱 부품을 생산하는 에코플라스틱은 시가총액 약 138억 원의 중견기업이랍니

benefit.luckyreport7.com

 

 

⚠️ 투자 유의사항
이 글은 투자 참고용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권유나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위험이 있으므로 최종 투자 결정은 본인의 신중한 판단으로 하셔야 합니다. 모든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 출처 및 참고자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세진중공업 2025년 반기보고서), 한국거래소, FnGuide 기업분석, 세진중공업 공식 홈페이지,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조선업계 관계사 보도자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