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오시스(141080)가 2025년 11월 13일 코스닥에 상장했는데, 정말 이례적인 기록을 세웠어요. 바이오 자동화 기술 선두기업인 큐리오시스는 공모가 22,200원 대비 첫 거래가 88,000원으로 4배(따따블) 급등했거든요. 시가총액은 약 1,673억 원 규모예요. 기관 투자자 의무보유 확약이 67%를 넘었고, 경쟁률은 1,031대 1을 기록했어요.
하지만 11월 14일 현재 61,600원까지 하락하며 단기 조정 신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3년까지 적자였지만, 2025년 흑자 전환이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에요. 오늘은 공모주의 진짜 가치와 현재 진입 시점을 함께 분석해보겠습니다!
1. 큐리오시스 최근 이슈 - 코스닥 상장 사상 최고 기록
공모가 4배 따따블, IPO 시장의 새로운 역사
큐리오시스의 상장이 정말 이례적이었어요. 공모가 2만 2,200원에서 첫 거래가 8만 8,000원으로 시작했거든요. 이는 공모가 대비 300% 상승, 즉 4배 급등이에요. 최근 IPO 시장에서 이 정도 수준은 드물어요.
왜 이렇게 한 번에 올랐을까요? 이유는 명확합니다:
① 기관 경쟁률 1,031대 1 - 수요 대비 공급이 턱없이 부족
② 기관 의무보유 확약 67% - 기관들이 장기 보유 의도 명확
③ 바이오 자동화 기술주 희소성 - 한국 시장에 거의 없는 기업
"연구실의 테슬라", 실험실 자동화 시장 급성장
큐리오시스의 핵심 기술이 뭘까요? 실험실 자동화 로봇이에요. 쉽게 말하면 과학자들이 반복하는 지루한 실험 작업을 로봇이 대신 하는 시스템이라고 보면 돼요.
예를 들어 코로나 백신 개발할 때 수천 번 반복되는 검사를 사람이 하나하나 다 할 수 없잖아요? 그런 작업을 로봇이 정확하고 빠르게 해주는 거예요. 전 세계 제약사, 바이오 회사, 대학 연구실이 모두 필요로 하는 기술이거든요.
글로벌 실험실 자동화 시장은 연 15% 성장 중이에요. 특히 AI, 신약 개발이 활발해질수록 더 빠르게 성장할 거라는 게 전문가 평가랍니다.
기관 의무보유 67%는 뭐가 다를까?
보통 IPO 기관 의무보유가 50% 정도인데, 큐리오시스는 67%라는 게 정말 높아요. 이게 뭘 의미할까요?
'기관들이 이 회사를 매우 신뢰한다'는 뜻이에요. 왜냐하면 의무보유 기간(보통 6개월~1년) 동안 팔 수도 없거든요. 손실 나도 참아야 한다는 뜻이죠. 그런데도 의무보유 확약을 많이 한다는 건 중장기 성장을 강하게 믿는다는 거예요.
2. 큐리오시스 기술적 관점 - 따따블 후 급락, 조정 시작

첫 거래가 88,000원 → 현재 61,600원, 단기 조정
11월 13일 첫 거래가 88,000원에서 14일 현재 61,600원까지 하락했어요. 이는 -30% 이상의 급락이에요. 충격적으로 보일 수 있지만, 이건 '정상적인 IPO 조정'일 가능성이 높아요. 왜냐하면:
① 공모주 1차 락업 풀림 - 공모주를 받은 개인들이 매도 시작
② 기관의 차익실현 - 첫날 급등에서 일부 차익 실현
③ 기술적 과매수 정정 - RSI(상대강도지수) 고점에서 조정
52주 신저가 61,600원, 조정 다할 가능성 높아
현재 가격 61,600원이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어요. 극도로 낮은 가격이라는 뜻이죠. 이는 조정이 거의 다 했다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어요. 앞으로는 반등할 가능성이 높다는 거예요.
| 가격 수준 | 현황 | 의미 |
|---|---|---|
| 공모가 | 22,200원 | 기관 평가 가격 |
| 첫 거래가 | 88,000원 | 시장의 과열 신호 |
| 현재가 | 61,600원 | 조정 구간 (52주 신저가) |
| 합리가 | 40,000~50,000원 | 기술 성장성 반영 시 |
VI 발동, 변동성 완화 장치 작동
11월 13일 오후 VI(변동성완화장치)가 발동했어요. 이는 주가 변동이 너무 크면 거래를 잠깐 멈추는 시스템이에요. 이런 신호는 '극도의 과열과 조정이 동시에 벌어진다'</strong는 뜻입니다.
3. 큐리오시스 펀더멘털 - 아직 손실 회사, 하지만 전환 임박
2023년까지 적자, 2025년 흑자 전환 예상
큐리오시스는 아직 손실을 기록 중이에요. 하지만 중요한 건 2025년부터 흑자 전환이 예상된다는 거예요.
| 구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 예상 | 비고 |
|---|---|---|---|---|
| ROE | -90% | -35% | 3% | 흑자 전환 |
| 상태 | 적자 | 적자 | 흑자 | +연구개발비 축소 |
| 매출 | 약세 | 회복 | 성장 | 제품 수요 증가 |
유통 물량 낮음, 공급 부족 구조
큐리오시스의 유통 가능 비율은 25.34%에 불과해요. 이는 시장에 팔 수 있는 물량이 매우 적다는 뜻이에요. 일반적으로 유통 물량이 40% 이상인 신주와 비교하면 공급이 충분히 부족한 상태라는 거죠. 이는 앞으로 '공급 부족에 따른 수급 호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요.
최대 주주 지분율 14.79%, 낮지만 투명 경영 신호
보통 창업자의 지분이 30~50%인데, 큐리오시스의 최대 주주 지분은 14.79%로 정말 낮아요. 이게 정말 흥미로운 구조인데, 경영진은 의도적으로 지분을 핵심 임직원들에게 나눠줬다고 해요. 이는 '투명한 경영 구조'</strong를 만들려는 의도로 평가됩니다.
4. 큐리오시스 전문가 평가 - 기관 의무보유 67%, 그 의미
기관의 신뢰도가 최고 수준
| 항목 | 수치 | 평가 |
|---|---|---|
| 기관 경쟁률 | 1,031대 1 | 초과 구독 1,031배 |
| 기관 의무보유 확약 | 67% | 극히 높음 |
| 희망범위 상한 제시율 | 99.91% | 최상단 가격 선택 |
| 평가 | 연구실의 테슬라 | 차별화된 기술주 |
따상 vs 따락의 기로, 앞으로 어떻게?
큐리오시스는 현재 '따상 후 따락' 상황이에요. 하지만 기관 의무보유 67%라는 구조가 있으니 극심한 하락은 제한될 가능성이 높아요. 왜냐하면:
① 기관들이 6개월~1년 동안 매도할 수 없음
② 공급 물량이 제한됨 (유통 25.34%)
③ 2025년 흑자 전환 임박
따라서 중장기 관점에서는 긍정적 요소가 많다고 볼 수 있어요.
5. 최종 정리
✅ 큐리오시스의 강점
→ 바이오 자동화 기술 글로벌 경쟁력
→ 2025년 흑자 전환 임박
→ 기관 의무보유 67%, 기관 신뢰도 극대
→ 유통 물량 25.34%로 공급 부족
→ 글로벌 시장 연 15% 성장
⚠️ 큐리오시스의 약점
→ 아직 손실 회사 (2023~2024년 적자)
→ 상장 첫날 과열로 고평가
→ 신생 기업의 재무 불확실성
→ 단기 변동성이 매우 큼
→ 기술 변화에 따른 리스크
큐리오시스는 정말 '따따블 후 따락의 전형적 IPO'를 보여줬어요. 하지만 기관의 무려 67% 의무보유가 있다는 건 경영진들이 중장기 성장을 강하게 믿는다는 뜻이에요. 2025년 흑자 전환도 눈앞이고요. 현재 61,600원은 공모가의 약 2.8배지만, 첫날 88,000원 대비 30% 하락한 가격이거든요. 기술력과 시장 성장성을 믿는다면 지금이 진입 타이밍이라고 평가됩니다!
2025.11.14 - [경제공부] - 리가켐바이오 주가전망, 매출역대급, 목표주가
리가켐바이오 주가전망, 매출역대급, 목표주가
리가켐바이오(141080)가 2025년 11월 13일 (전일 대비) 급등하며 167,900원을 기록했어요. ADC(항체-약물 결합체) 기술의 글로벌 선두기업인 리가켐바이오는 시가총액 약 6조 2,000억 원 규모로, 전 세계
benefit.luckyreport7.com
2025.11.14 - [경제공부] - 삼영엠텍 주가전망, 조선관련주, 목표주가
삼영엠텍 주가전망, 조선관련주, 목표주가
삼영엠텍(054540)이 2025년 11월 13일 +12.47% 급등하며 18,580원을 기록했어요. 조선기자재 및 플랜트 기자재 전문기업인 삼영엠텍은 시가총액 약 1조 5,660억 원으로, 선박엔진 구조재에서 글로벌 경쟁
benefit.luckyreport7.com
2025.11.14 - [경제공부] - 세진중공업 주가전망, 목표주가, 조선 관련주
세진중공업 주가전망, 목표주가, 조선 관련주
세진중공업(075580)이 2025년 11월 13일 +1.29% 상승하며 19,560원을 기록했어요. 조선기자재 전문기업인 세진중공업은 시가총액 약 1조 1,120억 원으로, LPG 탱크에서 글로벌 1위를 차지하고 있는 강자랍
benefit.luckyreport7.com
⚠️ 투자 유의사항
이 글은 투자 참고용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 권유나 종목 추천이 아닙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위험이 있으므로 최종 투자 결정은 본인의 신중한 판단으로 하셔야 합니다. 모든 투자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 드립니다.
📌 출처 및 참고자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큐리오시스 IPO 증권신고서), 한국거래소, FnGuide 기업분석, 큐리오시스 공식 홈페이지, 한국바이오기술협회, 마켓컬 IPO 분석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셀트리온 주가전망, 3분기실적, 기관 매수하는 이유 (0) | 2025.11.14 |
|---|---|
| 리가켐바이오 주가전망, 매출역대급, 목표주가 (0) | 2025.11.14 |
| 삼영엠텍 주가전망, 조선관련주, 목표주가 (0) | 2025.11.14 |
| 세진중공업 주가전망, 목표주가, 조선 관련주 (0) | 2025.11.14 |
| 에이프로젠 주가전망,바이오시밀러 관련주 (0) | 2025.11.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