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128940)은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위식도역류질환 등 생활습관병 치료약과 비만 치료제 신약 개발을 주력하는 제약회사로, 2025년 11월 현재 주가 476,500원에 시가총액 약 1조 5,100억원 규모예요. 올해 3분기 매출 3,623억원, 영업이익 551억원을 기록했으며,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 8.0%, 순이익 29.9% 증가했습니다. 현재 PER 50.3배로 높은 편이지만, NH투자증권이 목표주가를 52만원에서 56만원으로 상향 조정하며 제약사 톱픽을 유지한 상황이에요. 특히 비만 치료제 시장의 구조적 성장과 연내 파트너사 임상 데이터 발표가 남아있어 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미약품의 실적 회복 배경과 향후 전망을 살펴보겠습니다.
한미약품 최근 이슈
비만 약 시장 호황 - 글로벌 일라이릴리 시총 사상 최고 경신
한미약품이 주목받는 가장 큰 이유는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의 구조적 성장이에요. 미국 제약사 일라이릴리(Eli Lilly)의 시가총액이 최근 9,000억 달러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거든요. 이는 단순한 한 회사의 성공이 아니라 비만 약 전체 시장이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신호예요. 마치 스마트폰 시장이 성장하면서 애플뿐 아니라 전체 생태계가 커지는 것처럼, 한미약품도 이 성장 흐름에 탈 수 있는 위치에 있다는 거죠.
NH투자증권 목표가 56만원 상향 - 비만약 성장 반영
가장 주목할 신호는 11월 12일 NH투자증권이 목표주가를 52만원에서 56만원으로 상향조정했다는 거예요. 이들은 "비만 약 시장이 2026년에도 구조적 성장을 이어갈 것"이라며 한미약품을 제약사 톱픽으로 유지했거든요. 특히 '최혜국 대우 약가 정책(MFN)' 적용에도 환자 저변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어요. 약가가 내려가도 환자가 계속 늘어난다는 뜻이니, 이건 정말 강한 수요를 의미합니다.
연내 파트너사 임상 발표 예정 - 4분기~1분기 상승 모멘텀
한미약품의 실적을 더욱 밝게 하는 건 연내 예정된 대형 이벤트들이에요. ① 파트너사 일라이릴리의 레타트루타이드 3상 첫 발표가 4분기 예정되고, ② MSD의 MASH(대사이상지방간염) 2b상 발표도 4분기~1분기 사이 예상돼요. 이 두 발표가 긍정적으로 나오면, 한미약품의 비슷한 파이프라인들(LA-TRIA, MASH 치료제)의 가치가 크게 부각될 가능성이 높거든요. 마치 경쟁사 신상 출시가 시장을 크게 키워 모두가 혜택을 보는 것처럼 말이에요.
한미약품 기술적 관점

1년 최고가 494,000원 경신 - 강한 상승 심리
기술적으로 한미약품은 최근 1년 최고가 494,000원을 경신했어요. 현재 476,500원은 그 고점 대비 약 3.5% 정도만 낮은 수준이라, 상승 모멘텀이 매우 강하다고 볼 수 있답니다. 거래량도 1,274만주(거래대금 611억원)로 평소의 2배 이상 증가해 있거든요. 이는 기관과 외국인이 동시에 매집 중이라는 신호예요.
거래량 2배 증가 - 기관의 본격 진입
수급 측면에서 거래량이 평소의 2배 이상 증가한 것은 정말 주목할 만한 신호예요. 특히 NH투자증권의 목표가 상향 발표 이후로 기관들이 본격적으로 매집하는 것으로 보이거든요. 단기 투기자들이 아니라 중장기 투자자들의 움직임이라는 뜻이에요.
한미약품 펀더멘털 관점
3분기 순이익 454억원, 전년 대비 29.9% 증가 - 정상화 신호
한미약품의 가장 큰 변화는 수익성 회복이에요. 3분기 순이익이 454억원으로 전년 대비 29.9% 증가했거든요. 영업이익도 551억원으로 8.0% 증가하며 실적 정상화가 진행 중이에요. 이는 북경한미 실적이 회복되고 있으며, 길리어드와의 기술이전 계약금도 반영되었기 때문이에요.
8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1위 - 기본 약발력 강함
한미약품의 진정한 경쟁력은 8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라는 사실이에요. 3분기 원외처방 매출이 2,565억원으로 전년 대비 3.0% 성장했거든요. 이는 기본 사업이 견고하다는 뜻이에요. 특히 로수젯(이상지질혈증 치료제)이 589억원(+10.1%), 아모잘탄(고혈압)이 370억원 등으로 주력 제품들의 성장이 일관되답니다.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 57.6% 영업이익 성장
또 하나의 밝은 신호는 중국 사업의 회복이에요. 북경한미가 3분기 영업이익 236억원을 기록해 전년 대비 57.6% 급증했거든요. 과거 재고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지만, 이제는 정상 궤도에 돌아왔다는 뜻이에요. 매출도 941억원(+11.6%)으로 성장했으니, 중국 사업이 한미약품의 새로운 성장 엔진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구분 | 2024년 3분기 | 2025년 3분기 | 변화 |
| 매출액 | 3,619억원 | 3,623억원 | +0.1% |
| 영업이익 | 510억원 | 551억원 | +8.0% |
| 순이익 | 349억원 | 454억원 | +29.9% |
| 원외처방 매출 | 2,492억원 | 2,565억원 | +3.0% (1위 유지) |
한미약품 기관·외국인 수급현황

기관·외국인 동시 매집 - 강한 신뢰 신호
수급 측면에서 한미약품은 기관과 외국인이 동시에 매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이는 중장기 성장성을 신뢰하는 신호라고 봐야 해요. 특히 외국인 지분율이 꾸준히 증가 중인데, 이는 글로벌 비만 약 시장 성장을 이들도 인식하고 있다는 뜻이에요.
| 투자자 구분 | 최근 수급 | 평가 |
| 기관 | 순매수 진행 중 | 목표가 상향 반영 |
| 외국인 | 순매수 증가 | 글로벌 성장 신뢰 |
| 개인 | 활발한 참여 | 모멘텀 편승 |
| 거래량 | 1,274만주 (평소 2배) | 강한 상승 심리 |
한미약품 목표주가 및 투자 전략
NH투자증권 목표가 56만원 - 현 주가 대비 17.6% 상승
NH투자증권의 목표주가 56만원은 현재 주가 476,500원 대비 약 17.6% 상승 여력을 의미해요. 이는 보수적 추정이고, 만약 연내 파트너사 임상이 긍정적으로 나올 경우 60만원을 넘을 가능성도 있다는 뜻이에요.
2025년·2026년 실적 전망 - 지속적 성장 예상
NH투자증권이 제시한 실적 가이던스를 보면 ▲ 2025년 매출 1조 5,190억원, 영업이익 2,360억원 ▲ 2026년 매출 1조 6,950억원, 영업이익 2,690억원을 예상하고 있어요. 2년 연속 실적이 성장한다는 뜻이니, 장기적으로 충분한 투자 가치가 있다는 판단입니다.
투자 전략 - 분할 진입과 보유 권장
만약 지금 주식을 보유하고 있다면, 연내 파트너사 임상 발표(4분기)까지는 반드시 보유할 것을 권장해요. 긍정적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에요. 신규 투자를 고려한다면, ▲현재가 476,500원에서 10% 분할 진입, ▲470,000원대에서 추가 진입, ▲손절매 라인 450,000원으로 설정하는 전략을 권장합니다.
| 투자 상황 | 권장 행동 | 근거 |
| 현재 보유 중 | 4분기 임상 발표까지 보유 | 파트너사 데이터 기대 |
| 신규 진입 | 분할 매수 시작 | 476,500원부터 470,000원까지 |
| 손절매 라인 | 450,000원 | 여기서 하락 시 재검토 |
| 목표가 | 560,000원 (단기) | NH투자증권 컨센서스 |
결론 - 비만 약 시장의 가장 확실한 투자처
기본 사업은 튼튼, 신약은 가능성 충만
한미약품의 강점은 기본 사업(8년 연속 원외처방 1위)과 신약 파이프라인(비만약, MASH)을 동시에 보유했다는 거예요. 마치 안정적인 월급에 보너스를 기대하는 것처럼, 한미약품은 기본 수익은 확보하면서 신약 성공 시 급증을 기대할 수 있는 위치에 있거든요.
글로벌 비만 시장의 성장 파도를 탈 수 있는 위치
일라이릴리의 시가총액이 9,000억 달러에 도달했다는 건 비만 약 시장의 파이 자체가 엄청나게 크다는 뜻이에요. 그 시장에서 한미약품은 ① 글로벌 파트너사와의 협력, ② 자체 신약 파이프라인, ③ 중국 사업 회복을 보유한 회사거든요. 실전 투자자라면 현 수준에서의 진입과 4분기 임상 발표까지의 인내가 충분한 수익을 만들어줄 거라고 생각합니다.
※ 이 글은 투자 참고용이며, 최종 투자 결정은 본인의 판단으로 하셔야 합니다. 제공된 정보의 정확성이나 완전성을 보장하지 않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한화오션 주가전망, 미국이 요청한 '연간 20척 건조' 계약 후 얼마나 오를까? - Korea stocks
한화오션(042660)은 세계 최대급 조선 기업으로 LNG, 원유운반선, 잠수함 등을 건조하는 방위산업 종목이며, 2025년 11월 현재 주가 129,600원에 시가총액 약 39조 7,000억원 규모예요. 올해 3분기 매출 3
finance.luckyreport7.com
클로봇 주가전망 2025, 올해 흑자 전환, 왜 기관들은 지금 사고 있을까? - Korea stocks
클로봇(466100)은 자율주행 로봇과 피지컬 AI 기술을 바탕으로 한 로봇 서비스 전문기업으로, 2025년 11월 현재 주가 39,900원에 시가총액 약 1조원 규모예요. 올해 상반기 매출은 127억원(전년 +10.4%)을
finance.luckyreport7.com
상장 1년 만에 반토막된 더본코리아, 지금 사야 할까? 말아야 할까? - Korea stocks
더본코리아(475560)는 빽다방, 홍콩반점 등 25개 브랜드를 운영하는 외식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현재 주가 25,450원에 시가총액 3,761억원 규모예요. 2024년 11월 상장 후 최고가 64,500원에서 지금까지 60
finance.luckyreport7.com
출처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효성중공업 주가전망, AI전력, 목표주가 (0) | 2025.11.12 |
|---|---|
| HJ중공업 주가전망 2025, MASGA 정책 수혜, 조선주 (0) | 2025.11.12 |
| 유한양행 주가전망, 목표주가, 화이자 관련주, 치매 관련주 (0) | 2025.11.11 |
| 대한광통신 주가전망,목표주가,5G관련주, 방위산업 관련주 (0) | 2025.11.11 |
| 에이비엘바이오 주가 전망, 목표주가, 바이오 관련주, 치매, 면역항암제 (0) | 2025.11.11 |